CAN통신 (2) 썸네일형 리스트형 Socket CAN 테스트를 위한 Virtual CAN 환경 구성 방법 Linux 환경에서 CAN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Socket CAN 일 것이다. Socket CAN 은 리눅스 커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CAN 통신 드라이버이기 때문에 별도의 드라이버 또는 API가 필요하지 않을 뿐더러, 대부분의 CAN 통신 장치들을 이 Socket CAN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Socket CAN을 일반 PC(노트북, 미니 PC, NUC등)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USB to CAN 등의 별도 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Pcan usb, CANable 등이다. 이런 장치들은 각자 방법들은 조금씩 다르지만 결국 Socket CAN 인터페이스를 생성해주고(can0, can1 등등) .. CANable을 이용한 CAN통신 국방로봇대회를 준비하면서 CAN통신을 하게 되었다. 메인 PC로 사용하고 있는 Intel NUC에서 CAN 통신으로 모터 드라이버에 명령을 보내고 데이터를 받는 일을 하였다. 일반 PC에는 대부분 CAN 통신 포트가 뚫려있지 않기 때문에, CAN통신을 하려면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peak system의 pcan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Intel NUC 역시 CAN통신을 하려면 CAN통신 장치가 필요한데, CANable이라는 장치를 구매해 사용해보았다. CANable USB-to-CAN 보드를 사용해서 CAN통신을 하는 법을 알아보자. ** 준비물 ** 1. CANable(CAN to USB) 보드 2. ST-Link V2 mini 1. CANable (공식 홈페이지) https://ca.. 이전 1 다음